보물 제505호…담양군 천년을 지켜온 객사리 석당간 > 뉴스 | 로컬엠뉴스 빠른 지역뉴스와 농산어촌뉴스, 여행, 축제, 공연, 로컬맛집

최종편집 : 2025.11.07 13:07
Today : 2025.11.07 (금)

  • 구름많음속초15.0℃
  • 구름조금10.8℃
  • 맑음철원15.4℃
  • 맑음동두천18.2℃
  • 맑음파주15.6℃
  • 구름조금대관령13.3℃
  • 구름조금춘천11.2℃
  • 맑음백령도15.5℃
  • 맑음북강릉15.8℃
  • 구름조금강릉17.4℃
  • 구름조금동해16.4℃
  • 맑음서울17.0℃
  • 연무인천16.9℃
  • 구름조금원주15.1℃
  • 구름조금울릉도16.5℃
  • 구름조금수원18.4℃
  • 맑음영월14.6℃
  • 맑음충주15.4℃
  • 맑음서산17.7℃
  • 맑음울진18.7℃
  • 맑음청주17.8℃
  • 박무대전16.6℃
  • 맑음추풍령16.0℃
  • 구름조금안동16.9℃
  • 맑음상주15.5℃
  • 구름조금포항18.5℃
  • 맑음군산17.7℃
  • 구름조금대구16.6℃
  • 맑음전주18.0℃
  • 구름많음울산19.0℃
  • 구름많음창원17.1℃
  • 연무광주19.1℃
  • 구름많음부산20.4℃
  • 맑음통영20.0℃
  • 맑음목포20.5℃
  • 맑음여수18.0℃
  • 연무흑산도21.3℃
  • 맑음완도20.5℃
  • 맑음고창20.6℃
  • 맑음순천18.9℃
  • 맑음홍성(예)15.6℃
  • 맑음16.3℃
  • 구름많음제주22.2℃
  • 맑음고산22.7℃
  • 구름조금성산22.1℃
  • 구름조금서귀포23.0℃
  • 맑음진주17.6℃
  • 맑음강화16.8℃
  • 구름많음양평15.1℃
  • 맑음이천16.0℃
  • 맑음인제12.3℃
  • 구름조금홍천13.0℃
  • 구름조금태백15.4℃
  • 구름많음정선군13.5℃
  • 맑음제천15.0℃
  • 맑음보은17.4℃
  • 맑음천안17.5℃
  • 맑음보령17.8℃
  • 구름조금부여16.5℃
  • 맑음금산16.0℃
  • 맑음16.0℃
  • 맑음부안17.8℃
  • 맑음임실18.3℃
  • 맑음정읍18.8℃
  • 맑음남원18.3℃
  • 맑음장수18.6℃
  • 맑음고창군19.9℃
  • 맑음영광군19.9℃
  • 구름많음김해시19.3℃
  • 맑음순창군17.8℃
  • 구름많음북창원17.3℃
  • 구름조금양산시21.3℃
  • 맑음보성군19.7℃
  • 맑음강진군20.6℃
  • 맑음장흥20.6℃
  • 맑음해남20.8℃
  • 맑음고흥21.4℃
  • 구름조금의령군15.0℃
  • 맑음함양군16.7℃
  • 맑음광양시19.9℃
  • 맑음진도군20.5℃
  • 맑음봉화16.4℃
  • 맑음영주15.7℃
  • 맑음문경16.0℃
  • 맑음청송군18.3℃
  • 구름조금영덕18.8℃
  • 맑음의성17.5℃
  • 맑음구미15.5℃
  • 맑음영천17.5℃
  • 구름조금경주시18.7℃
  • 맑음거창14.7℃
  • 맑음합천16.5℃
  • 맑음밀양17.7℃
  • 구름조금산청15.8℃
  • 구름조금거제18.1℃
  • 맑음남해16.8℃
  • 구름많음19.4℃
기상청 제공
보물 제505호…담양군 천년을 지켜온 객사리 석당간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행/문화

보물 제505호…담양군 천년을 지켜온 객사리 석당간

고려의 숨결을 품은 역사 유산

담양 석당간.jpg

 

담양군 읍내에서 순창 방면으로 향하다 보면, 예상치 못한 풍경이 시야에 들어온다. 들판 한가운데 우뚝 솟은 석조 기둥 하나, 천 년을 지켜온 담양 객사리 석당간이다.


담양군 담양읍 객사리에 자리한 ‘담양 객사리 석당간(石幢竿)’은 고려시대에 처음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며, 1969년 보물 제505호로 지정된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석당간은 본래 불교 사찰에서 법회나 의식을 알리는 깃발을 걸기 위해 세웠던 기둥이다.


특히 이 깃발에는 ‘그릇된 것을 깨고 바른 도리를 드러낸다’는 뜻의 파사현정(破邪顯正)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어 단순한 장식을 넘어 종교적 상징물의 역할을 했다.


당간은 주로 목재로 제작됐지만 시간이 흐르며 대부분 소실됐고, 지금까지 남아 있는 철제나 석제 당간은 전국에서도 손에 꼽힌다.


특히 담양 객사리 석당간은 국내에 남은 석당간 두 점 중 하나로, 그 희소성과 역사적 가치가 높게 평가되고 있다.

 

 

객사리 석당간은 고려시대부터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인근의 고려시대 오층석탑(보물 제506호)과 함께 이 지역에 큰 절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현재의 석당간은 조선 헌종 5년(1839년)에 중건된 것으로, 당시 세운 비문에 따르면 이전에도 여러 차례 자연재해와 훼손을 겪고 보수를 거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주(당간을 지탱하는 기둥 받침)의 형식이 고려 양식을 따르고 있어, 중건 이전의 원형도 고려시대의 형태를 따랐음을 보여준다.



담양 객사리 석당간은 단순한 불교 유물에 그치지 않는다. 담양 지역이 배처럼 생긴 지형이라는 설에 따라, 이 돌기둥을 '배의 돛대'로 삼아 지형의 균형을 잡고 마을의 안녕을 기원했다는 풍수 이야기도 전해진다.


이 때문에 지역 주민들은 이 석당간을 ‘종대’ 또는 ‘짐대’라고 부르기도 한다. 지역의 정신적 상징물로도 받아들여지는 이유다.


 

석당간은 섬세하고 정교한 구조를 자랑한다. 연꽃 문양이 새겨진 돌 받침 위에 가늘고 긴 팔각형 돌기둥 세 개가 연결되어 있으며, 쇠띠로 이음 부위를 단단히 고정해 내구성을 높였다.


기둥의 꼭대기에는 이중 보륜(寶輪) 장식과 함께 풍경(風磬)이 달려 있어, 바람이 불면 은은한 소리를 낸다.


그 위에는 뾰족한 철침이 솟아 있는데, 이는 당시 피뢰 기능까지 고려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섬세한 부속물이 지금까지 온전하게 남아 있는 사례는 전국적으로도 드물다.



담양군 관계자는 “객사리 석당간은 담양의 오랜 역사와 지역 정체성을 함께 담고 있는 상징적 유산”이라며 “앞으로도 체계적인 보존과 활용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이 유산의 가치를 느낄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