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24 17:28
Today : 2025.07.25 (금)

  • 맑음속초25.5℃
  • 맑음25.1℃
  • 맑음철원23.3℃
  • 맑음동두천24.3℃
  • 맑음파주23.3℃
  • 맑음대관령19.5℃
  • 맑음춘천25.2℃
  • 박무백령도23.4℃
  • 맑음북강릉25.1℃
  • 맑음강릉28.1℃
  • 맑음동해25.5℃
  • 맑음서울28.4℃
  • 맑음인천26.2℃
  • 구름조금원주26.8℃
  • 맑음울릉도25.0℃
  • 맑음수원25.7℃
  • 맑음영월23.7℃
  • 맑음충주25.1℃
  • 맑음서산24.6℃
  • 구름많음울진25.3℃
  • 맑음청주29.0℃
  • 맑음대전27.7℃
  • 맑음추풍령22.8℃
  • 맑음안동25.8℃
  • 맑음상주25.4℃
  • 맑음포항27.3℃
  • 맑음군산26.7℃
  • 맑음대구26.4℃
  • 맑음전주27.3℃
  • 맑음울산25.0℃
  • 맑음창원25.9℃
  • 맑음광주27.9℃
  • 맑음부산27.7℃
  • 맑음통영26.4℃
  • 박무목포26.4℃
  • 맑음여수27.4℃
  • 박무흑산도25.1℃
  • 맑음완도24.1℃
  • 맑음고창25.8℃
  • 맑음순천22.7℃
  • 맑음홍성(예)25.4℃
  • 맑음25.5℃
  • 맑음제주27.3℃
  • 맑음고산26.7℃
  • 맑음성산26.0℃
  • 맑음서귀포29.2℃
  • 맑음진주23.2℃
  • 맑음강화23.1℃
  • 구름조금양평25.4℃
  • 맑음이천25.3℃
  • 맑음인제22.2℃
  • 맑음홍천25.0℃
  • 맑음태백21.1℃
  • 맑음정선군22.2℃
  • 맑음제천23.6℃
  • 맑음보은24.3℃
  • 맑음천안24.7℃
  • 맑음보령26.5℃
  • 맑음부여25.7℃
  • 맑음금산25.3℃
  • 맑음26.2℃
  • 맑음부안26.6℃
  • 맑음임실24.0℃
  • 맑음정읍26.5℃
  • 맑음남원24.5℃
  • 맑음장수20.8℃
  • 맑음고창군25.5℃
  • 맑음영광군25.5℃
  • 맑음김해시26.2℃
  • 맑음순창군25.8℃
  • 맑음북창원27.7℃
  • 맑음양산시26.6℃
  • 맑음보성군24.5℃
  • 맑음강진군24.9℃
  • 맑음장흥23.7℃
  • 맑음해남24.4℃
  • 맑음고흥23.6℃
  • 맑음의령군23.1℃
  • 맑음함양군23.1℃
  • 맑음광양시26.2℃
  • 맑음진도군23.8℃
  • 맑음봉화22.4℃
  • 맑음영주23.9℃
  • 맑음문경23.3℃
  • 구름많음청송군22.7℃
  • 맑음영덕22.2℃
  • 맑음의성23.2℃
  • 맑음구미25.5℃
  • 맑음영천23.2℃
  • 맑음경주시23.5℃
  • 맑음거창23.0℃
  • 맑음합천24.7℃
  • 맑음밀양25.7℃
  • 맑음산청23.8℃
  • 맑음거제26.7℃
  • 맑음남해24.9℃
  • 맑음26.0℃
기상청 제공
천년 역사와 문화 찾아 떠나는 ‘광양 사찰여행’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행/문화

천년 역사와 문화 찾아 떠나는 ‘광양 사찰여행’

성불사, 중흥사, 옥룡사지, 불암사 등

광양 사찰여행.jpg

 

광양에는 ‘성불사’, ‘중흥사’, ‘옥룡사지’, ‘불암사’ 등 수려한 풍광을 즐기며 마음을 정화하고 치유할 수 있는 고즈넉한 산사와 절터가 많다. 


특히, 선각국사 도선이 35년간 주석하고 입적한 ‘옥룡사지’를 비롯해 광양 대부분의 사찰은 도선과 깊은 연관성을 갖고 있다.


2022년 전통 사찰로 지정된 ‘성불사’도 도선국사 창건 사찰로, 임진왜란 때 소실돼 터만 남았던 것을 1965년 무현선사가 초암 3칸을 지어 수행 정진하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 



봉강면 조령리의 성불교에서 약 2km에 달하는 성불계곡을 거슬러 만날 수 있는 ‘성불사’는 대웅전, 관음전, 극락전, 오층석탑, 범종각 등의 전각이 있으며, 그윽한 풍경소리가 마음을 편안하게 해준다. 


화엄사 말사인 ‘중흥사’는 도선이 운암사로 창건한 사찰이나, 둘레 4km에 이르는 중흥산성 안에 위치하면서 ‘중흥사’로 불리게 됐다.


‘중흥사’는 쌍사자석등(보물 제103호), 삼층석탑(보물 제112호), 석조지장보살반가상(전라남도유형문화재 제142호) 등 위대한 문화유산을 품고 있는 고찰로, 특히 쌍사자석등은 서로 가슴을 맞댄 암수 두 마리 사자가 앞발과 입으로 무거운 석등 불집을 받들고 있는 형상으로 역동적인 조형성과 균형감을 자랑하는 걸작이다. 


다만, 쌍사자석등은 일제의 반출 기도로 1918년 경복궁으로 옮겨진 후, 경무대, 덕수궁, 국립중앙박물관 등을 거쳐 현재는 국립광주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으며, 그 과정에서 숱한 부침을 겪었다.



몇 개의 주춧돌로 남은 고요한 ‘옥룡사지’도 찾아볼 만한 곳이다. 



‘옥룡사’는 선각국사 도선이 중수해 35년간 제자를 양성하고 입적한 곳으로, 지금은 터만 남아 빽빽한 동백나무와 함께 비움과 채움의 미학을 보여준다.


옥룡사 동백나무숲 오솔길이 끝나는 곳에 있는 ‘운암사’는 창건의 기록도 없이 소실된 것을 1993년 종견스님이 다시 일으켰다고 전해진다.


절 마당에는 40m에 달하는 황동약사여래입상이 푸른 하늘을 배경으로 웅장하게 서서 신비한 아우라를 자아낸다. 



섬진강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다압면의 ‘불암사’는 극락전을 중심으로 원통전, 산신각, 지장전, 종각 등과 수행 공간인 템플관이 있다.


특히, 이곳의 유물전시관에서는 업경대, 금동입상불, 쌍사자광명등, 연꽃무늬석재사리함 등 원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200여 점의 진귀한 유물들을 만날 수 있다. 


그밖에 전통사찰로 지정된 대한불교 조계종 ‘백운사’, ‘보광사’ 등도 빠트리기 아까운 사찰들이다.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