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5.10 21:31
Today : 2025.05.11 (일)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농촌 지역의 활력 회복과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 우수 정책 사례를 담은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분야별 사례집’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례집은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농촌공간계획 수립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전국 농촌 시·군의 담당자와 주민들이 실질적인 정책 수립과 사업 추진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전국에서 추진된 농촌 재생 사례 중 주거환경 개선, 일자리 창출, 아름다운 경관 보존, 공동체 회복 등 6개 분야에서 실질적 변화를 이끈 23건을 선정해 사업 추진 과정, 성공 요인과 주요 성과 등을 주민과 관계자 인터뷰를 통해 생생하게 담아냈다.
특히, 전북특별자치도에서는 정읍시의 ‘샘샘카페(SAME2)’가 지역 유휴시설을 활용하여 청년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명소로 성공적으로 탈바꿈한 사례로 주목받았다. 샘골농협과 청년지원센터의 협력을 통해 오래된 농협 양곡창고는 매력적인 파머스 디저트 카페로 변신했다. 2024년 개소 이후 1만 명이 넘는 방문객이 이곳을 찾았으며, 지역 청년 7명을 채용하는 등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지역 65개 밀 농가와의 계약을 통해 우리 밀을 활용한 특색 있는 디저트를 개발·판매하며 농가와의 상생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이 아름다운 산수유 농업의 전통을 굳건히 이어가는 전남 구례의 산수유 마을, 주민 간의 경관 협정을 통해 사운 고택을 중심으로 역사·문화·관광 자원을 발전시키는 충남 홍성의 고미당 마을 등 다채로운 성공 사례들이 이번 사례집에 담겨있다.
이번 우수 사례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지역 사회의 문제점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구체적인 사업으로 발전시킨 지자체의 적극적인 노력과 더불어, 주민ㆍ행정ㆍ농협 등 각 주체 간의 명확한 역할 분담, 지역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뜨거운 협력이 이러한 사례들을 성공으로 이끈 핵심 동력이었다는 점이다..
농식품부 김보람 농촌공간계획과장은 “이번 사례집에 수록된 다양한 성공 경험들이 전국 각 시군에서 지역의 특성에 맞는 창의적인 농촌공간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며, “앞으로도 지역의 다양한 성공 사례를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널리 소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사례집’의 자세한 내용은 농식품부 누리집(www.mafra.go.kr → 정책홍보 → 정책자료 → 정책분야별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광주 진월동, 이곳에 자리한 ‘시골집 추어탕’은 내게 단순한 식당 이상의 의미다. 여러 번 다녀온 익숙한 공간이지만, 방문할 때마다 변함없이 반겨주는 깔끔한 분위기와 깊은 ...
오늘의 로컬맛집 이야기는 제철 주꾸미 이야기다. 겨울부터 봄까지는 제철 알배기 주꾸미를 즐기기에 가장 좋은 시기다. 광주 화정동에 위치한 왕대박삼순이네는 싱싱한 ...
오늘의 로컬맛집은 광주 봉선동 먹자골목에 위치한 '저팔계'이다. 10년 이상의 역사를 자랑하는 조개구이 맛집으로 입소문을 타면서 주말이나 성수기에는 1시간 이상 대기가...
광주 북구 중흥동에 위치한 로컬맛집인 오메야가마솥육개장은 지역 맛집 애호가들 사이에서 입소문을 타고 있는 특별한 식당이다. TV 프로그램에도 여러 차례 출연하며 그 명성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