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청장 임상섭)이 심각한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침체된 산촌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발 벗고 나섰다. 산림청은 17일, 산촌 지역의 특색을 살린 맞춤형 사업 모델을 발굴하고 사업화를 지원하는 ‘2025년 산촌활력특화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산촌활력특화사업’은 산촌 지역의 풍부한 자연환경, 특산물인 임산물, 그리고 산림복지시설 등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만의 차별화된 소득 창출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사업으로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난해 처음 시행된 이 사업은 10개 산촌 지역에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며 성공적인 첫 발을 내딛었다. 올해는 지원 대상을 확대하여 경기 가평, 경기 여주, 충북 괴산, 전북 진안, 전남 장성, 경북 칠곡(2곳), 경남 진주 총 8개 지역을 선정하여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선정된 8개 지역에는 전문 컨설팅 기업이 파견되어 각 지역의 잠재력을 분석하고, 실질적인 소득 창출 모델 발굴부터 구체적인 사업 계획 수립, 그리고 성공적인 사업 추진을 위한 체계 구축까지 전 과정에 걸쳐 밀착 컨설팅을 제공한다.
산촌활력특화사업에 참여하는 산촌 마을들은 오는 11월까지 자체적인 사업 모델을 기획하고 운영하게 된다. 연말에는 각 마을의 사업 추진 성과와 성공 사례를 공유하고, 더 나아가 산촌 마을 간의 활발한 교류를 도모하는 뜻깊은 자리가 마련될 예정이다.
현재 국내 산촌 지역은 총 468개소에 달하며, 이 중 5개 지역(1.1%)이 ‘인구소멸 주의’ 단계, 46개 지역(9.8%)이 ‘소멸위험 진입’ 단계, 그리고 무려 417개 지역(89.1%)이 ‘소멸고위험’ 단계로 분류될 만큼 심각한 인구 소멸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에 산림청의 이번 사업은 산촌 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최서희 산림청 산림휴양치유과장은 “다양한 산림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각 산촌의 고유한 매력과 특색을 살린 특화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침체된 산촌 지역과 나아가 지방 전체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강한 의지를 밝혔다.